콘텐츠로 건너뛰기

사업개요

사업명

동천 DIY 센터

사업기간

2025년 4월~10월

사업지역

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(거점 동천로333)

사업목적

  • 매립, 소각하지 않고 재사용한 자재로 전환하여 마을 안에서 순환하는 경제 시스템 구축하고 마을 주민간 협력적 관계망을 형성
  • 다양한 주민주체(사업자,공공기관)와 협력하여 거점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자원 순환 생태계를 만들고자 함  
  • 기후위기대응 학습/실천 공동체를 양성하고 주민참여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마을내 자원수리문화를 확산하고 기반을 다지고자 함
  • 마을기업으로 도약할 가능성 타진

해결과제

  • 재활용률이 낮은 대규모 카페. 다세대 주택 단지의 우유팩, 폐전선, 커피박 등을 수집하여 마을 내 쓰레기 분리 배출 시스템 안착 
  • 분리배출을 넘어, 버려지는 자원을 최소화하고 유용자원으로 재탄생시키는 마을 문화 조성 (폐가전, 폐전선, 폐가구, 자전거 기타 생활 폐기물)
  • 화석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상점과 전원주택을 중심으로 대안에너지 사용 사례 발굴

사업 목적

친환경농업에 대한 인식 제고 및 도농 교류와 협력의 선순환구조 마련
– 친환경농업 지향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공동체 조성 및 도농교류 네트워크 강화
– 도심 근거리 농업, 생태공간 조성을 통해 땅의 자생력과 생물다양성 회복
– 계층, 세대 간 통합의 장 마련 및 지역 실천공동체와 시민사회 역량 강화

주요 사업 및 내용

코워킹 공간 운영 활성화
1) 자원순환교육
  • 자전거수리, 재생 워크샵 2회 | 폐자전거재생, 분해, 수리, 관리
  • 커피박재활용 워크샵 2회 | 커피박퇴비/펠릿 제작, 활용
  • 집수리 4회, 태양광 워크샵 2회 | 전기/건축/태양광패널 조립 기술
  • 견학 2회 | 용인환경센터/타지역 자원순환센터
2) 월간 수리 모임 : 수리 활동의 일상화, 시민기술자 양성. 4회
3) 자전거 수리센터 : 상시 운영
  • 공유 물품 수집
  • 마을 자원(축제용품,공구,전자제품,소품 등) 공유, 대여, 배달
  • 블로그 운영
  • 동네 축제와 연계, 1회 이상 운영
  • 수리마당, 아나바다, 태양광 발전 홍보, 친환경 물품 체험, 판매(목표 참여 인원 200명)

  • 관리자 1명 고용, 분리배출 모니터링
  • 5곳(카페어부바, 숲속도서관, 수지노인복지관, 느티나무도서관, 마을 카페 파지사유) 거점 관리, 자원순환홍보

기대 효과

매립/소각 폐기물 저감
– 주체적으로 활동할 마을활동가 양성으로 자원순환공동체 활성화
– 안정적 자원순환거점 구축으로 마을 주민 활동 지속가능성 보장
– 자체 제작 태양광 패널 보급으로 대안에너지 사용 접근성 높임
– 소비문화에 대응하는 일상적 수리/공유 문화 활성화
– 폐자원 활용 마을기업 가능성 타진
– 주민, 상점, 환경교육센터, 용인시와의 안정적 거버넌스 구축

사업 추진 계획

단위사업명 실행일정 세부 사업내용(목표) 및 추진방법 비고
자원순환거점 운영(A)
4월~10월
• 분리배출 수집함 운영(5개소)

• 분리배출량 및 일반쓰레기 저감량 모니터링(주 1회)

• 마을공유창고, 수리센터 운영 : 상시
주민참여프로그램(B)
6월~10월
• 업사이클교육

– 자전거수리,재생 워크샵 2회

– 커피박재활용 워크샵 2회

– 집수리워크샵 4회, 태양광워크샵 2회

– 견학 2회(용인환경센터/타지역 선진지)

– 가전제품 수리워크샵 4회(월 1회) 운영
자원순환축제(C)
9월
• 자원순환축제 개최(1회): 9월

– 목표인원 : 마을 주민 200명

– 장소 : 손곡천변

– 내용 : 수리마당,아나바다,자원순환거점홍보